Skip to content

Commit 3fa815f

Browse files
committed
[ko] Update outdated files in dev-1.26.-ko.1 [M14-17]
1 parent cb71d71 commit 3fa815f

File tree

5 files changed

+133
-73
lines changed

5 files changed

+133
-73
lines changed

content/ko/docs/concepts/cluster-administration/system-traces.md

Lines changed: 1 addition & 1 deletion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4,7 +4,7 @@ title: 쿠버네티스 시스템 컴포넌트에 대한 추적(trace)
44
# - logicalhan
55
# - lilic
66
content_type: concept
7-
weight: 60
7+
weight: 90
88
---
99

1010
<!-- overview -->

content/ko/docs/concepts/configuration/configmap.md

Lines changed: 1 addition & 4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11,46 +111,7 @@ data:
111111
112112
다음은 `game-demo` 의 값을 사용하여 파드를 구성하는 파드 예시이다.
113113

114-
```yaml
115-
apiVersion: v1
116-
kind: Pod
117-
metadata:
118-
name: configmap-demo-pod
119-
spec:
120-
containers:
121-
- name: demo
122-
image: alpine
123-
command: ["sleep", "3600"]
124-
env:
125-
# 환경 변수 정의
126-
- name: PLAYER_INITIAL_LIVES # 참고로 여기서는 컨피그맵의 키 이름과
127-
# 대소문자가 다르다.
128-
valueFrom:
129-
configMapKeyRef:
130-
name: game-demo # 이 값의 컨피그맵.
131-
key: player_initial_lives # 가져올 키.
132-
- name: UI_PROPERTIES_FILE_NAME
133-
valueFrom:
134-
configMapKeyRef:
135-
name: game-demo
136-
key: ui_properties_file_name
137-
volumeMounts:
138-
- name: config
139-
mountPath: "/config"
140-
readOnly: true
141-
volumes:
142-
# 파드 레벨에서 볼륨을 설정한 다음, 해당 파드 내의 컨테이너에 마운트한다.
143-
- name: config
144-
configMap:
145-
# 마운트하려는 컨피그맵의 이름을 제공한다.
146-
name: game-demo
147-
# 컨피그맵에서 파일로 생성할 키 배열
148-
items:
149-
- key: "game.properties"
150-
path: "game.properties"
151-
- key: "user-interface.properties"
152-
path: "user-interface.properties"
153-
```
114+
{{< codenew file="configmap/configure-pod.yaml" >}}
154115

155116
컨피그맵은 단일 라인 속성(single line property) 값과 멀티 라인의 파일과 비슷한(multi-line file-like) 값을
156117
구분하지 않는다.

content/ko/docs/concepts/configuration/manage-resources-containers.md

Lines changed: 7 additions & 1 deletion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317,6 +317,10 @@ kubelet은 로컬 임시 스토리지가 아닌 컨테이너 메모리 사용으
317317
`tmpfs` emptyDir 볼륨을 추적한다.
318318
{{< /note >}}
319319

320+
{{< note >}}
321+
kubelet은 임시 스토리지을 위해 오직 루트 파일시스템만을 추적한다. `/var/lib/kubelet` 혹은 `/var/lib/containers`에 대해 별도의 디스크를 마운트하는 OS 레이아웃은 임시 스토리지를 정확하게 보고하지 않을 것이다.
322+
{{< /note >}}
323+
320324
### 로컬 임시 스토리지에 대한 요청 및 제한 설정
321325

322326
`ephemeral-storage`를 명시하여 로컬 임시 저장소를 관리할 수 있다.
@@ -343,6 +347,7 @@ Ei, Pi, Ti, Gi, Mi, Ki와 같은 2의 거듭제곱을 사용할 수도 있다.
343347
각 컨테이너에는 2GiB의 로컬 임시 스토리지 요청이 있다.
344348
각 컨테이너에는 4GiB의 로컬 임시 스토리지 제한이 있다.
345349
따라서, 파드는 4GiB의 로컬 임시 스토리지 요청과 8GiB 로컬 임시 스토리지 제한을 가진다.
350+
이 제한 중 500Mi까지는 `emptyDir` 볼륨에 의해 소진될 수 있다.
346351

347352
```yaml
348353
apiVersion: v1
@@ -373,7 +378,8 @@ spec:
373378
mountPath: "/tmp"
374379
volumes:
375380
- name: ephemeral
376-
emptyDir: {}
381+
emptyDir:
382+
sizeLimit: 500Mi
377383
```
378384

379385
### `ephemeral-storage` 요청이 있는 파드의 스케줄링 방법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